제1장

제지사업에 진출하여 성장기반을 구축하다 (1966~1982)

  • 1966년 3월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가 출범했다. 깨끗한나라 55년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역사적 순간이었다. 1950년대 산업 불모지였던 이 땅에 제지산업의 초석을 놓은 1세대 제지인 최화식 창업주는 산업보국의 경영이념과 진실을 사훈으로, 펄프 국산화와 제지산업의 부흥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자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다. 사업 초기 펄프에서 판지로 생산품목을 변경하고, 의정부공장을 준공하며 생산기반을 구축했다. 현대식 설비를 갖춘 대단위 규모의 의정부공장은 회사는 물론 국내 제지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주역이었다. 이와 함께 정직하고 진실하며 화합하는 고유의 문화를 조성해 나갔다.
    창립 9년 만인 1975년 기업공개를 통해 국민의 기업으로 거듭났으며, 이를 계기로 해외로 눈을 돌려 ‘화이트 호스’ 자체 브랜드로 홍콩에 직접 수출하는 등 세계시장을 개척해 나갔다. 신양제지를 인수하고 의정부공장을 증설하는 등 사세도 확장했다. 외형 못지않게 내실도 기해 종이컵 원지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 등 기술 혁신 및 제품 개발을 도모하고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제고하며 토종기업의 위상을 드높였다.
    장치산업 특성상 설비에 투자해야 하는 자금부담이 크고 1970년대에 불어닥친 두 차례의 오일쇼크 등 기업 환경은 녹록하지 않았지만 대한팔프는 성장 기반을 착실히 다지며 우리나라 제지산업의 선진화와 부흥을 향한 도전을 이어갔다.
    그러던 1980년 11월, 창업주 최화식 사장이 영면했다는 비보가 전해졌다. 회사 발전과 제지산업에 헌신해온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모두에게 충격을 주었다. 그러나 대한팔프 전 구성원은 슬픔을 딛고 고인의 정신과 그 꿈을 받들어 나갈 것을 다짐하며 새로운 각오를 다졌다.

    3. 사훈 및 사가 제정과 화합의 기업문화 조성

    55년간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는 사훈 ‘진실’의 의미

    대한팔프는 창업 초기 펄프에서 판지로 생산품목을 변경하고 의정부에 새 부지를 마련하는 등 생산 인프라 구축에 집중했다. 이로 인해 조직체계와 기업문화를 확립하는 데 다소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1967년 9월 공장 가동을 계기로 조직 정비와 회사 고유의 기업문화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산업보국의 창업정신을 기반으로 구성원들의 구심점으로 작용할 사훈은 ‘진실’로 정했다. 최화식 사장이 가장 중시한 가치이자 평생의 좌우명이었던 진실은 이후 55년을 관통하는 정신으로서 계승 발전되고 있다.
    사훈 진실에 담긴 의미는 몇 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먼저 정도경영과 일맥 상통하는 의미의 진실경영이다. 대한팔프를 대표하는 기업정신이자 영속 발전을 위해 반드시 지켜 나가야 할 정도경영, 진실경영을 의미한다. 또한 제품 생산을 비롯해 각 업무에 진실한 혼을 담자는 의미로서 최고 품질의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더불어 매사에 정직하고 성실한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는 직장인의 기본 자세이자 업무능력을 갖춘 기술인에 앞서 먼저 인간다운 인간이 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최화식 사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구성원들에게 진실의 의미를 강조하며 이를 실천해줄 것을 당부했다.
    사훈에 이어 사가도 제정했다. 박목월 시인이 작사하고 여기에 김진한 작가가 곡을 붙였다. 사가에는 산업보국의 창업정신과 기업의 사회적 역할 등 기업 사명과 함께 화합과 협력, 열정과 도전의 정신을 담았다.


    사가 악보(박목월 작사, 김진한 작곡)

  • 조직 체제 확립과 직원들의 복리후생 강화

    대한팔프는 사세가 커지자 몇 번의 개편을 통해 조직을 확대해 1974년 기준으로 본사는 영업부, 업무부, 경리부, 총무부, 기획관리부의 5부 체제로, 공장은 생산기술실, 생산기획실, 총무부, 생산부, 관리부의 3부2실 체제로 재편했다. 종업원 수는 모두 410여 명이었다.

    조직도(1975. 5. 31 기준)

    본사

    의정부공장

    이후의 주요 개편 내용을 살펴보면, 1974년 5월 부산출장소에 이어 대구시 중구 서문로에 대구출장소를 신설했으며, 1975년 초 기업공개를 준비하며 부사장제를 도입했다. 1976년에는 신양제지 인수 등으로 사세가 확대된 데 따라 기존의 경리과를 재무과와 회계과로 개편했으며, 이듬해에는 경영다각화를 모색하기 위해 개발부를 신설했다. 1978년에는 미래 먹거리 창출과 기획 전략 등의 업무를 강화하고자 기획조정실을 발족하고 기획조정 비서실장에 최병민 상무를 임명했다. 이후 기획조정실은 전략기획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회사의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했다. 1979년에는 서울시 중구 수표동 47-6 천수빌딩 7층으로 본사를 이전했으며, 재무과를 자금부로 승격시켰다. 생산부문의 경우 1981년 서울공장 초지기 시설을 의정부공장으로 이전해 업무의 효율을 꾀했다.
    직원들의 후생복지도 강화했다. 1978년 장학금제도를 신설하고 1,000만 원의 장학기금을 출연해 종업원의 장학기금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또 구성원들의 화합과 사기 진작을 위하여 사내 낚시대회를 개최하는 등 직원들의 동호회 활동을 적극 지원했으며, 의정부공장 여직원들로 이루어진 백합회가 주축이 되어 불우이웃돕기 자선 바자회를 열고 수익금을 불우이웃 성금으로 기탁하는 등 사회공헌활동도 시작했다.
    무엇보다 직원들의 교육에 공을 들였다. 직업인이 갖춰야 할 자세로부터 제지산업에 대한 전문 지식은 물론 가나안농군학교에서 전사원을 대상으로 정신교육을 실시했으며, 일본어와 영어의 외국어 교육도 실시했다. 견문을 넓히기 위해 해외 박람회나 세미나, 외국 선진기업 견학을 실시하기도 했다. 부서별로 주 1회 아침조회를 갖고 월 1회 전체회의를 진행하며 중요사안을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창립 제13주년 기념 체육대회(197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