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제지사업에 진출하여 성장기반을 구축하다 (1966~1982)-
1966년 3월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가 출범했다. 깨끗한나라 55년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역사적 순간이었다. 1950년대 산업 불모지였던 이 땅에 제지산업의 초석을 놓은 1세대 제지인 최화식 창업주는 산업보국의 경영이념과 진실을 사훈으로, 펄프 국산화와 제지산업의 부흥을 통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자 힘찬 발걸음을 내디뎠다. 사업 초기 펄프에서 판지로 생산품목을 변경하고, 의정부공장을 준공하며 생산기반을 구축했다. 현대식 설비를 갖춘 대단위 규모의 의정부공장은 회사는 물론 국내 제지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주역이었다. 이와 함께 정직하고 진실하며 화합하는 고유의 문화를 조성해 나갔다.
창립 9년 만인 1975년 기업공개를 통해 국민의 기업으로 거듭났으며, 이를 계기로 해외로 눈을 돌려 ‘화이트 호스’ 자체 브랜드로 홍콩에 직접 수출하는 등 세계시장을 개척해 나갔다. 신양제지를 인수하고 의정부공장을 증설하는 등 사세도 확장했다. 외형 못지않게 내실도 기해 종이컵 원지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 등 기술 혁신 및 제품 개발을 도모하고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제고하며 토종기업의 위상을 드높였다.
장치산업 특성상 설비에 투자해야 하는 자금부담이 크고 1970년대에 불어닥친 두 차례의 오일쇼크 등 기업 환경은 녹록하지 않았지만 대한팔프는 성장 기반을 착실히 다지며 우리나라 제지산업의 선진화와 부흥을 향한 도전을 이어갔다.
그러던 1980년 11월, 창업주 최화식 사장이 영면했다는 비보가 전해졌다. 회사 발전과 제지산업에 헌신해온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모두에게 충격을 주었다. 그러나 대한팔프 전 구성원은 슬픔을 딛고 고인의 정신과 그 꿈을 받들어 나갈 것을 다짐하며 새로운 각오를 다졌다.7. 종이컵 원지 국산화로 입증한 토종기업의 위엄1977
자체 기술로 종이컵 원지 제조공법 개발
대한팔프는 1976년 120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장가도를 달렸다. 이듬해에는 매출목표를 전년보다 30% 높이 설정하고 의욕적으로 사업을 펼쳐 나갔다. 이는 신양제지를 인수해 정비작업을 마무리했고, 의정부공장을 증설해 공급 여력이 크게 확대되어 충분한 생산 인프라를 갖춘 데 따른 계획이었다. 또한 내수시장의 확대를 위해 직판체제를 강화하고 수출 확대를 위해 세일즈 강화 및 바이어 초청판매도 실시했다.
무엇보다 대한팔프는 판지의 품질 우위를 확고히 하고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 신제품 개발에 적극 나섰다. 특히 부가가치 제품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제품 개발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1970년대 중반 이후 판지업체들의 기술 수준이 점차 평준화됨에 따라 품질경쟁이 더욱 치열했기 때문이었다. 더불어 산업 발전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우수한 품질의 고급제품에 대한 수요가 대폭 늘어나는 점도 중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 결실 중 하나가 1977년에 개발한 종이컵 원지였다. 자체 기술진에 의해 개발한 종이컵 원지 제조공법으로 특허도 냈다. 국내 최초의 일이었다. 이 종이컵 원지는 260g/㎡ 및 240g/㎡의 합지로 만들었는데 물에 젖거나 새지 않아야 하고 식품위생상 유해한 약품이나 물질이 포함되면 안 되는 만큼 기술력이 요구됐다.
그동안 종이컵 원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가 절실한 품목이었다. 대한팔프가 기존 재래컵 원지의 결점을 보완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함에 따라 수입대체를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국내 제지산업의 기술력을 대내외에 드높이게 됐다. 특히 대한팔프가 개발한 종이컵 원지는 중간 공정이 불필요해 원가 절감이 가능했고 인체 무해성 등을 관계기관으로부터 검증받아 위생상 안전한 제품으로 평가받았다.
대한팔프 종이컵 원지 개발 관련 보도(매일경제, 1977. 12. 13)사용 후에는 종이원료로 재사용이 가능해 환경 친화적이었다. 주로 음료용 컵에 사용됐으며, 이 밖에 아이스크림류, 우유, 활선어 포장, 어류 및 육류, 젓갈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했다. 대한팔프는 종이컵 원지에 대한 특허 취득과 함께 서울공장에 일산 30톤 규모의 생산설비를 갖췄다.
예상대로 종이컵 원지는 인기리에 판매됐다. 이에 힘입어 1977년 대한팔프는 120억 원의 매출과 2억 6,600만 원의 순이익을 올렸으며, 주주총회에서 20% 배당을 실시했다. 이는 종이컵 원지를 비롯한 식품용 판지 개발과 수출 확대, 그리고 경영합리화 등을 추진한 덕분에 거둔 결실이었다.
1981년 들어 자동판매기의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종이컵 수요가 크게 늘어나자 대한팔프는 설비를 풀가동한 데 이어 라미네이트 코팅시설을 새로 도입해 품질을 더욱 높였다. -
인체에 무해한 식품 포장지 개발 착수
1977년 대한팔프는 경영다각화를 위해 개발부를 신설하고 제품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그 결과 1978년 1월 식품용 판지 개발에 성공했다. 형광물질을 완전히 제거해 인체에 해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가볍고 질겨 사용에 편리한 식품포장용지로 특허도 냈다. 대한팔프는 서울공장을 식품포장지 전문생산공장으로 삼고 연간 9,000여 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주요 생산품목은 음료용 컵 용지, 아이스크림 포장지, 젓갈류 포장지 등이었으며 롯데, 해태 등 식품회사에 주로 공급했다.
무해포장지 개발 보도(동아일보, 1978. 1. 17)식품용 판지에 이어 색 보드지의 개발에도 착수했다. 이를 위해 일본에서 기술자를 초빙, 색 보드지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다각적인 기술문제를 협의했다. 이와 함께 용지 수요의 고급화와 제품의 다양화를 위해 기능인력의 해외연수도 추진했다. 식품용 판지 개발에 이어 특수지의 개발을 목표로 기술진을 꾸려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선진국으로 파견했던 것이다.
1983년에는 1억 원을 투자해 우유, 쥬스류 용기로 널리 쓰이는 테트라팩 국산화에도 나섰다. 이 밖에도 1982년 9월 운반용 포장지의 국산화를 위하여 미국의 미드 패키징 인터내셔널 사와 설비공급은 물론 종이 제조기술, 인쇄기술, 가공기술 등을 독점적으로 공여받는 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10월부터 시제품을 생산하는 등 제품개발력과 기술 혁신을 두로 모색했다.
1호기 코타 설치 및 증설 기념식(1983.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