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대한펄프는 최병민 대표이사의 취임과 함께 새 시대를 열었다. 새로운 각오 아래 창업정신의 계승 발전과 함께 지속성장의 방안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 1985년 금강제지를 인수하며 화장지사업에 뛰어들었다. 1986년 두루마리 화장지 생산에 이어 1987년 독자기술로 여성용 생리대 생산을 시작했으며, 이듬해 아기기저귀 생산으로 품목을 다각화했다. 이로써 대한펄프는 제지사업과 생활용품사업을 영위하는 종합제지기업으로 변신했다. 제조 인프라의 정비에도 나서 의정부공장에 이어 1988년 1월 제지 1호기와 화장지 1호기를 갖춘 대단위 규모의 청주공장을 준공하며 도약의 발판을 구축했다. 이후 제조 인프라를 청주공장으로 단일화한다는 계획 아래 제지 설비는 물론 화장지 및 생리대 설비를 연이어 증설해 국제적 규모를 갖추고 품질 향상과 생산성 제고를 견인했다. 내실도 기해 1989년 제지연구소를 설립, 최고 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 국내외 시장에 공급했다. 1991년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대한펄프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이를 계기로 국내 최고의 종합제지회사로 도약한다는 의지를 다졌다. 특히 제품 개발과 품질 향상에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1991년 선보인 여성 생리대 ‘매직스’와 1995년 순수 국산기술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아기기저귀 ‘보솜이’는 대한펄프의 기술력과 제품 개발력을 입증한 제품으로 출시 직후부터 소비자의 호평 아래 인기리에 판매됐다. 해외시장을 향한 도전도 멈추지 않았다. 원료 및 자금 확보와 수출 확대를 위한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1988년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했으며, 중국 진출의 거점으로 삼고자 홍콩사무소와 상해사무소를 설치했다. 중화권에서 인기를 구가하던 자체 브랜드 ‘화이트 호스’에 이어 1994년 ‘베스트 코트’를 론칭하고 일본시장에 진출해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했으며 이후 세계 20개 국가로 수출선을 넓혔다. 이처럼 고객만족을 위한 제품개발과 수출 확대에 힘써 1993년 생산성 대상에 이어 제지업계 최초로 5천만불 수출탑과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며 토종기업의 위상을 대내외에 드높였다. 이는 최병민 사장의 리더십과 사훈 진실을 구심점으로 노사가 한 마음 한 뜻으로 협력하여 이룬 소중한 결실이었다.
17. 창업 25주년 맞아 ㈜대한펄프로 사명 변경 1991
위에서부터 대한팔프 CI, 대한펄프 CI, 1994년 말부터 사용한 캐치프레이즈 ‘좋은펄프 대한펄프’
1991년 국내 경제는 물가상승과 인건비 증가 등이 제조원가의 급격한 상승을 초래해 국제경쟁력이 약화되고 무역수지 적자가 증폭되었으며 경기 침체로 어려운 실정이었다. 대외적으로도 국제 경제의 블록화 현상, 그리고 우리나라를 추격해오는 후발 개발도상국들의 수출시장 잠식 및 수입품의 확산 등으로 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됐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냉전시대에서 벗어나 화해무드가 조성되어 이를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해 대한팔프는 창립 25주년을 맞았다. 1966년 창업 당시와는 많은 것이 달라졌다. 백판지 중심의 산업용 포장지를 생산하는 판지기업에서 화장지와 생리대 및 기저귀 등으로 품목을 다각화하면서 종합제지기업으로 거듭났다. 기업 위상도 판지 부문에서는 국내 정상이었으며, 화장지 부문에서는 시장점유율 3위로 업계를 선도했다. 매출액 규모는 1990년을 기점으로 1,000억 원을 넘겼으며, 영업이익은 100억 대를 기록하는 등 창사 이래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의정부공장에 이어 1988년 대단위 공장인 청주공장을 준공해 제지와 생활용품 일체를 생산할 수 있는 완전생산체제를 갖췄으며, 1989년 제지연구소를 설립해 연구개발 역량도 강화했다. 해외시장도 꾸준히 개척해 수출선을 다변화하는 등 전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뒀다. 그러나 여기서 만족할 수는 없었다. 대한팔프는 창립 25주년을 계기로 성장의 가속 페달을 더욱 밟아 나가기로 하고 그해 3월 사명을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대한펄프(이하 대한펄프)로 변경했다. 맞춤법 통일안 개정에 따라 기존의 ‘팔프’에서 ‘펄프’로 수정했으며, 더불어 시대적 트렌드에 부응하고 기업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결정이었다. 무엇보다 전 임직원이 한 마음 한 뜻으로 새로운 희망과 각오를 다지자는 의미가 컸다. 사명이 변경됨에 따라 기존 로고 및 마크 등 CI를 새롭게 정비했으며, ‘좋은펄프, 대한펄프’의 캐치프레이즈 아래 소비자에게 사명 변경을 널리 알렸다. ‘좋은펄프, 대한펄프’ 이전에는 ‘새로운 생활문화를 창조하는 대한팔프’를 사용했었다. 1991년 대한펄프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전년대비 7.2%가 신장한 1,170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124억 원의 영업이익과 19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