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사업다각화와 해외시장 개척으로 고도 성장하다 (1983~1996)

  • 1983년 대한펄프는 최병민 대표이사의 취임과 함께 새 시대를 열었다. 새로운 각오 아래 창업정신의 계승 발전과 함께 지속성장의 방안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 1985년 금강제지를 인수하며 화장지사업에 뛰어들었다. 1986년 두루마리 화장지 생산에 이어 1987년 독자기술로 여성용 생리대 생산을 시작했으며, 이듬해 아기기저귀 생산으로 품목을 다각화했다. 이로써 대한펄프는 제지사업과 생활용품사업을 영위하는 종합제지기업으로 변신했다.
    제조 인프라의 정비에도 나서 의정부공장에 이어 1988년 1월 제지 1호기와 화장지 1호기를 갖춘 대단위 규모의 청주공장을 준공하며 도약의 발판을 구축했다. 이후 제조 인프라를 청주공장으로 단일화한다는 계획 아래 제지 설비는 물론 화장지 및 생리대 설비를 연이어 증설해 국제적 규모를 갖추고 품질 향상과 생산성 제고를 견인했다. 내실도 기해 1989년 제지연구소를 설립, 최고 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 국내외 시장에 공급했다.
    1991년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대한펄프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이를 계기로 국내 최고의 종합제지회사로 도약한다는 의지를 다졌다. 특히 제품 개발과 품질 향상에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1991년 선보인 여성 생리대 ‘매직스’와 1995년 순수 국산기술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아기기저귀 ‘보솜이’는 대한펄프의 기술력과 제품 개발력을 입증한 제품으로 출시 직후부터 소비자의 호평 아래 인기리에 판매됐다.
    해외시장을 향한 도전도 멈추지 않았다. 원료 및 자금 확보와 수출 확대를 위한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1988년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했으며, 중국 진출의 거점으로 삼고자 홍콩사무소와 상해사무소를 설치했다. 중화권에서 인기를 구가하던 자체 브랜드 ‘화이트 호스’에 이어 1994년 ‘베스트 코트’를 론칭하고 일본시장에 진출해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했으며 이후 세계 20개 국가로 수출선을 넓혔다.
    이처럼 고객만족을 위한 제품개발과 수출 확대에 힘써 1993년 생산성 대상에 이어 제지업계 최초로 5천만불 수출탑과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며 토종기업의 위상을 대내외에 드높였다. 이는 최병민 사장의 리더십과 사훈 진실을 구심점으로 노사가 한 마음 한 뜻으로 협력하여 이룬 소중한 결실이었다.

    19. 중국 진출 거점, 홍콩사무소1991와 상해사무소 설치 1994

    대한펄프는 1975년 백판지 고유 브랜드 ‘화이트 호스’를 론칭하고 홍콩시장에 진출한 이래 중국과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수출선을 다변화해 왔다. 1990년대 들어 탈냉전 분위기와 화해 무드가 조성되면서 철의 장막과 죽의 장막이 거치기 시작했고, 이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다가오고 있음을 시사했다.
    제지업계도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수출 확대를 모색했다. 1988년에 이미 계성제지와 무림제지 등 제지업계 최고경영진이 중국을 방문, 양국 업계가 교류하며 물꼬를 틔우면서 중국시장 진출의 청신호가 켜졌다. 그동안의 종이수출은 홍콩을 경유한 시험수출 단계에 머물러 있었는데 판지 아트지를 중심으로 중국 수출이 늘어나면서 중국이 유망한 수출시장으로 부각됐다.
    대한펄프도 중국과의 직접 교역에 대비했다. 1975년 홍콩 진출 이후 창업주 시절부터 기술 및 자본합작을 통한 현지공장 건설 및 플랜트 수출 등 중국 현지 공략의 필요성을 누누이 강조해 왔고, 최병민 사장 역시 그 필요성을 누구보다 깊이 인식하고 있었다. 중화권에서는 ‘화이트 호스’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이미 조성되고 있어 기반이 닦인 셈이었다.
    이를 위해 대한펄프는 대 중국 수출 교두보로서 홍콩에 지사를 설치하기로 하고 사내에 별도팀을 구성해 중국시장 개척 방안을 강구했다. 이미 1987년 하반기에 500톤의 판지를 시험 수출한 데 이어 중국 측으로부터 추가 주문을 받아 그해 말까지 6,000톤 약 280만 달러 상당의 판지를 수출한 이력이 있었다. 1988년에도 중국 산동성의 국영인쇄소 등으로부터 1,000톤의 판지 주문을 받는 등 수출 물량이 꾸준히 이어졌다.


    China Pack 95에 참가한 대한펄프 홍보부스(1995)

    중국시장의 가능성을 재차 확인한 대한펄프는 1991년 홍콩에 지사를 설치했다. 당시는 중국과 우리나라 간 수교가 체결되기 전이어서 중국 공략의 거점으로 삼고자 홍콩지사를 설립했던 것이다. 중국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고려해 최병민 사장이 직접 중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1994년 중국과 우리나라가 수교를 맺자 대한펄프는 곧바로 중국 상해에 사무소를 개소했다. 이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중국시장 공략에 나섰다. 그 일환으로 1995년 7월 중국 북경에 위치한 국제무역센터(China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에서 열린 중국 포장 · 플라스틱쇼(CHINA Packaging/Plastic Show)에 참가했다. 이 전시회에는 포장재료, 포장기계류, 식품가공기계류 관련 14개국 150업체가 참가했는데, 대한펄프도 참가해 백판지, 컵 원지 및 생활용품을 전시하고 제품 홍보는 물론 신규 바이어 상담 및 기존 거래처와의 우의를 다졌다. 이 외에도 관련 전시회 및 박람회에 참가하고 신규 거래처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본사에서도 해외지사를 적극 지원했다. 매년 두 차례 열리는 경영전략회의에 해외 현지법인 및 해외사무소의 소장들을 참석시켜 회사의 사업계획과 전략을 공유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으며 요청사항에 대해서는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1995년 10월에는 상해화안채색제판인쇄유한공사와 화장지 생산에 관한 합작회사 설립계약을 체결하고 합작회사인 상해화한지업유한공사를 설립했다. 자본금은 150만 달러였으며, 합작비율은 대한펄프가 50.5%, 중국 측이 49.5%였다. 1996년 1월 중 공장을 준공, 연간 두루마리 화장지 500만 개, 미용티슈 500만 개, 키친타월 200만 개를 생산한다는 계획이었다. 생산품의 40%는 중국 현지에서 판매하고 나머지는 동남아시아 등지로 수출한다는 복안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95년부터 국내 경기가 급속도로 악화되고 1997년 IMF 외환위기가 발발하며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중국과의 합작회사를 중국 현지 공략의 전초기지로 삼고자 했던 계획에도 차질이 생기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