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사업다각화와 해외시장 개척으로 고도 성장하다 (1983~1996)-
1983년 대한펄프는 최병민 대표이사의 취임과 함께 새 시대를 열었다. 새로운 각오 아래 창업정신의 계승 발전과 함께 지속성장의 방안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 1985년 금강제지를 인수하며 화장지사업에 뛰어들었다. 1986년 두루마리 화장지 생산에 이어 1987년 독자기술로 여성용 생리대 생산을 시작했으며, 이듬해 아기기저귀 생산으로 품목을 다각화했다. 이로써 대한펄프는 제지사업과 생활용품사업을 영위하는 종합제지기업으로 변신했다.
제조 인프라의 정비에도 나서 의정부공장에 이어 1988년 1월 제지 1호기와 화장지 1호기를 갖춘 대단위 규모의 청주공장을 준공하며 도약의 발판을 구축했다. 이후 제조 인프라를 청주공장으로 단일화한다는 계획 아래 제지 설비는 물론 화장지 및 생리대 설비를 연이어 증설해 국제적 규모를 갖추고 품질 향상과 생산성 제고를 견인했다. 내실도 기해 1989년 제지연구소를 설립, 최고 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 국내외 시장에 공급했다.
1991년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대한펄프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이를 계기로 국내 최고의 종합제지회사로 도약한다는 의지를 다졌다. 특히 제품 개발과 품질 향상에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1991년 선보인 여성 생리대 ‘매직스’와 1995년 순수 국산기술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아기기저귀 ‘보솜이’는 대한펄프의 기술력과 제품 개발력을 입증한 제품으로 출시 직후부터 소비자의 호평 아래 인기리에 판매됐다.
해외시장을 향한 도전도 멈추지 않았다. 원료 및 자금 확보와 수출 확대를 위한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1988년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했으며, 중국 진출의 거점으로 삼고자 홍콩사무소와 상해사무소를 설치했다. 중화권에서 인기를 구가하던 자체 브랜드 ‘화이트 호스’에 이어 1994년 ‘베스트 코트’를 론칭하고 일본시장에 진출해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했으며 이후 세계 20개 국가로 수출선을 넓혔다.
이처럼 고객만족을 위한 제품개발과 수출 확대에 힘써 1993년 생산성 대상에 이어 제지업계 최초로 5천만불 수출탑과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며 토종기업의 위상을 대내외에 드높였다. 이는 최병민 사장의 리더십과 사훈 진실을 구심점으로 노사가 한 마음 한 뜻으로 협력하여 이룬 소중한 결실이었다.21. 철탑산업훈장 및 5천만불 수출탑 수상 1993
1993년 대한펄프는 제30회 무역의 날을 맞아 제지업체로는 처음으로 5천만불 수출의탑을 수상했으며, 최병민 사장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철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무역의 날은 무역의 균형 발전과 무역입국의 의지를 다지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로 1964년 제정됐다. 제30회 무역의 날 기념식은 1993년 11월 30일 서울 삼성동 한국종합전시장(현 코엑스)에서 김영삼 대통령을 비롯해 수출에 공로가 큰 업체 대표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서 대한펄프는 1993년 한 해 동안 약 5,600만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제지업체로는 처음으로 5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대한펄프는 과감한 투자를 통한 생산 인프라 구축, 품질 향상과 생산성 제고, 그리고 신시장 개척 및 수출선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이 같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특히 1966년 창업 이래 줄곧 수출을 기업의 주요한 사업 목표로 삼고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최고경영자가 직접 해외로 나가 시장조사를 하는 등 강력한 의지 아래 수출 정책을 펼쳤다. 사업 초기 국내 최대 규모의 백판지 공장을 준공해 기반을 조성한 후 세계시장의 문을 본격적으로 두드리기 시작했으며, 1975년 국내 최초로 고유 브랜드 ‘화이트 호스’로 홍콩에 직접 수출하기 시작했다. 이후 동남아시아로 수출선을 다변화했으며, 1991년 홍콩지사 설립과 1994년 중국 상해사무소를 설치를 계기로 중국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특히 1994년에는 ‘베스트 코트’ 브랜드로 일본시장에도 상륙했다. 선적 물량 규모에서는 만족할 만한 수준이 못 되었지만 품질 강국으로 정평이 난 일본시장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1988~1996년 내수 및 수출 실적 (단위 : 백만 원)그 선두에는 언제나 최병민 사장이 있었다. 그는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품질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늘 강조했다. 중국시장은 세계 각국의 제품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인 시장 개척과 투자가 필요하고, 중저가시장의 경우도 국내 제품이 경쟁력을 갖췄다고는 하나 동남아 제품들이 추격해오는 점을 감안하면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데 그 모든 기반이 바로 품질이라고 본 것이다.
이러한 최고경영자의 의지와 원칙 아래 대한펄프는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선 다변화에 주력해 1993년 당시 세계 20여개 국가에 5,600만 달러 상당을 수출하는 성과를 거뒀고, 그 결과 5천만불 수출탑과 철탑산업훈장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대한펄프는 5천만불 수출의탑 수상을 계기로 고객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제품 개발에 힘쓰며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종합제지 및 생활용품 기업을 목표로 더욱 정진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5천만불 수출의탑 및 철탑산업훈장 수훈 광고(매일경제, 1993.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