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대한펄프는 최병민 대표이사의 취임과 함께 새 시대를 열었다. 새로운 각오 아래 창업정신의 계승 발전과 함께 지속성장의 방안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 1985년 금강제지를 인수하며 화장지사업에 뛰어들었다. 1986년 두루마리 화장지 생산에 이어 1987년 독자기술로 여성용 생리대 생산을 시작했으며, 이듬해 아기기저귀 생산으로 품목을 다각화했다. 이로써 대한펄프는 제지사업과 생활용품사업을 영위하는 종합제지기업으로 변신했다. 제조 인프라의 정비에도 나서 의정부공장에 이어 1988년 1월 제지 1호기와 화장지 1호기를 갖춘 대단위 규모의 청주공장을 준공하며 도약의 발판을 구축했다. 이후 제조 인프라를 청주공장으로 단일화한다는 계획 아래 제지 설비는 물론 화장지 및 생리대 설비를 연이어 증설해 국제적 규모를 갖추고 품질 향상과 생산성 제고를 견인했다. 내실도 기해 1989년 제지연구소를 설립, 최고 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 국내외 시장에 공급했다. 1991년 대한팔프공업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대한펄프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이를 계기로 국내 최고의 종합제지회사로 도약한다는 의지를 다졌다. 특히 제품 개발과 품질 향상에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1991년 선보인 여성 생리대 ‘매직스’와 1995년 순수 국산기술로 만든 국내 최초의 아기기저귀 ‘보솜이’는 대한펄프의 기술력과 제품 개발력을 입증한 제품으로 출시 직후부터 소비자의 호평 아래 인기리에 판매됐다. 해외시장을 향한 도전도 멈추지 않았다. 원료 및 자금 확보와 수출 확대를 위한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1988년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했으며, 중국 진출의 거점으로 삼고자 홍콩사무소와 상해사무소를 설치했다. 중화권에서 인기를 구가하던 자체 브랜드 ‘화이트 호스’에 이어 1994년 ‘베스트 코트’를 론칭하고 일본시장에 진출해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했으며 이후 세계 20개 국가로 수출선을 넓혔다. 이처럼 고객만족을 위한 제품개발과 수출 확대에 힘써 1993년 생산성 대상에 이어 제지업계 최초로 5천만불 수출탑과 철탑산업훈장을 수상하며 토종기업의 위상을 대내외에 드높였다. 이는 최병민 사장의 리더십과 사훈 진실을 구심점으로 노사가 한 마음 한 뜻으로 협력하여 이룬 소중한 결실이었다.
24. 종이컵 원지에 이어 컵라면용 종이용지 개발에 성공 1995
대한펄프는 1977년 종이컵 원지를 국산화한 이래 식품용 용지 개발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왔다. 자동판매기의 보급과 컵지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종이컵 원지의 생산규모는 월 300톤으로 커졌고 해마다 생산량이 증가했다. 특히 대한펄프의 종이컵 원지는 품질이 우수해 시장점유율이 독보적이었고, 이는 매출과 수익 창출로 이어졌다. 종이컵 원지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은 대한펄프는 라미네이트 코팅시설을 도입하는 등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그 뒤를 이을 식품용 용지 개발에 몰두했다. 1986년 특수포장지 원지인 캐리보드를 출시했으며, 1987년에는 미국 미드패키징 사로부터 기술을 도입해 포장용기 더즌팩을 개발했다. 이후에도 콜라, 아이스크림 등 찬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몰드컵 원지, 우유 및 주스류 용기로 널리 쓰이는 테트라팩 등의 개발에 나서는 등 연구개발을 이어갔다. 종이컵과 유리병 대용으로 사용 가능한 1회용 음료용기의 생산량은 음료 소비의 증가와 자판기 보급의 확대에 따라 매년 20% 이상 증가하며 유망사업으로 떠올랐다. 이런 추세에 편승 많은 업체들이 잇따라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이 극심해지고 이로 인해 채산성이 악화되었지만, 그 와중에도 대한펄프의 제품은 우수한 품질력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 나갔다. 한편 대한펄프는 그간의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토대로 1991년 쓰레기 종량제와 관련해 기존의 컵라면용 스티로폼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라면 포장용 종이용지 개발에 나서 3년여 만에 개발에 성공했다. 이 용지는 스티로폼을 사용하던 기존의 컵라면 용기를 종이용기로 대체 사용함으로써 사용후 재생이 가능해져 용기라면 생산업체들의 지대한 관심을 받았다. 대한펄프는 이를 실용화해 내수시장은 물론 대만 등으로 수출하는 등 우수한 제품력을 대내외에 떨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