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기업 가치 제고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다 (2015~2018)-
2015년 깨끗한나라는 최병민 회장 체제로 재정비했다. 건강 악화로 경영에서 떠났던 최병민 회장이 건강을 회복하고 경영일선에 복귀하며 오너체제를 확고히 했다. 이를 계기로 창업정신의 계승과 기업 가치를 제고하며 ‘깨끗하고 건강한 생활문화 창출을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기업’을 향해 나아갔다.
2013년부터 진행하던 제지 3호기의 스피드업을 완료해 생산능력을 크게 확대했으며, 최첨단의 화장지 초지기와 가공기의 증설 등 생활용품 관련 설비 증설 프로젝트도 마무리했다. 또 물티슈 전문회사 보노아와 전문 건설기업 케이앤이를 설립해 자회사에 편입시켰다. 이로써 물티슈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일관체제를 갖춰 책임경영을 구현했으며, 잇단 설비와 플랜트 건설 등 효율적 관리로 시너지 창출을 기대할 수 있었다.
2016년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깨끗한나라는 ‘2020년 매출 1조 달성’을 목표로 투자 확대, R&D 강화, 해외 신시장 개척을 추진했다. 고부가가치 식품용지의 개발과 프리미엄 화장지 브랜드 ‘촉&감’을 론칭하고 산업용지와 생활용품의 수출 확대도 꾀했다. 음성에 최첨단 기저귀공장 건설계획도 수립했다. 이처럼 회사의 사세를 확대하고 제품 개발 및 수출 확대에 전력을 다한 결과 2016년 창사 이래 최고 매출인 7,060억 원을 올리며 성장가도를 달렸다.
그러나 시련은 다시 시작됐다. 2017년 릴리안 생리대가 유해물질 논란에 휘말리며 위기를 맞았다. 후폭풍은 거셌다. 인체에 무해하다는 발표에도 실추된 이미지는 좀처럼 회복되지 않았고, 2년 연속 손실을 기록하고 말았다.
2018년 깨끗한나라는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보다 안전한 제품 생산에 철저를 기했다. ‘깨끗한나라’, ‘촉&감’, ‘보솜이’, ‘비야비야’, ‘순수한면’, ‘봄날’ 등 품목별로 브랜드를 정비하고 신제품과 리뉴얼 제품을 선보였으며, 음성 기저귀공장도 준공했다. 또한 강력한 환경경영을 선언하고 이미지 쇄신에 나섰으며, 신시장 개척과 수출선 다변화 등 해외 비즈니스도 강화했다. 이처럼 구성원 모두가 전사적 역량을 모아 노력한 덕분에 2019년 마침내 턴어라운드에 성공하며 재기의 발판을 다졌다.65. 진화하는 청주공장
깨끗한나라는 1988년 충북 청주의 미호천 인근에 청주공장을 준공했다. 이후 청주공장은 33만㎡(약 10만 평)의 면적에 870여 명의 종업원이 근무하는 대단위 공장으로 성장했으며, 의정부공장을 매각한 후 회사의 유일한 생산기지로서 제지 및 생활용품 생산라인을 두루 갖춘 종합제지공장으로 발돋움했다. 2020년 기준으로 청주공장은 제지 2호기와 3호기를 비롯해 화장지 초지기 1, 3~5호기, 화장지 가공 2~6호기, 기저귀 4~5호기, 생리대 4~6호기 등을 보유하고 있다.
청주공장은 생산능력 확대 등 양적 성장 못지않게 최신의 첨단 설비 및 장비를 도입해 질적으로도 진화했다. 외부 RPF 보일러와 에너지 저장장치 ESS를 설치해 에너지 경쟁력을 갖췄으며, 안전과 사고 방지를 위해 CCTV 체계를 구축,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했다. 또 수분측정기를 도입해 원부자재인 고지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했으며, RTD와 FEMS 등을 구축해 스마트 팩토리로 한 단계 더 나아갔다.
외부 RPF 보일러는 2014년 말 설치를 완료했다. 2010년 중장기 에너지 사용 마스터 플랜에 의거해 LNG 보일러, 폐합성 2호 소각로, 복합보일러를 차례로 준공해 에너지 효율화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한 데 이은 행보였다. 135억 원을 들여 외부 RPF 보일러를 추가 설치한 것은 복합보일러보다 스팀 비용이 저렴하고 스팀생산 압력이 높아 품질이 우수하며 보일러 압력변동에 대처가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CCTV 체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했다. 2016년 기준으로 청주공장에 설치된 CCTV는 모두 282대였다. 이는 화재 및 안전사고 발생 시 즉각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외부인에 의한 사고 발생과 자산을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청주공장 전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종합상황실을 필두로 제지생산팀, 화장지생산팀, 패드생산팀, 환경에너지팀, 물류팀 등 각 생산팀마다 해당 설비 전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CCTV를 설치했다. 생산 현장 외 공장장실, 현장사무실, 총무 및 안전팀 등에도 CCTV를 설치해 각각 생산공정 모니터링, 해당 공정 모니터링, 출입자 및 위험공정 모니터링에 철저를 기해 이중, 삼중으로 안전망을 갖췄다. 원격지의 영상은 실시간 확인은 물론 녹화 영상 검색도 가능했다.
청주공장 전경(2020. 10)수분측정기는 2018년 2월 도입해 설치했다. 이로써 그간 육안으로 검수해오던 방식에서 탈피해 객관적인 수분 측정방식으로 전환했다. 고지를 재활용하는 사업 특성상 고지가격이 원가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고지는 통상 무게를 기준으로 가격을 산정하며, 일반적으로 물에 젖은 고지는 무게를 감량해 구매한다. 그러나 명확한 감량기준 없이 현장에서 육안으로 검수가 이루어지다 보니 그 과정에서 고지업체와 제지업체 간 마찰이 빚어지곤 했다. 제지업체에서는 이물질을 넣거나 물을 뿌려 고지 무게를 늘리는 행위를 근절해줄 것을 요구했고, 고지업체에서는 육안이 아닌 정확한 측정으로 고지대금을 산정해 줄 것을 요구하는 등 갈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수분측정기를 설치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었고, 수분 측정의 정확성과 투명성은 물론 신뢰를 확보해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와 함께 고지 창고에 투자해 대기 중의 수분 침투로 인해 원부자재의 부패 및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했다.
-
ESS 내부 -
ESS 외부 전경
2019년 2월에는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를 설치했다. ESS는 에너지 수요가 적은 야간에 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해 상대적으로 수요가 많은 낮시간에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으로 비용절감은 물론 탄소 배출량과 공기 오염 물질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으며, 정부가 적극 추진 중에 있는 에너지 정책사업이기도 하다. 깨끗한나라가 설치한 ESS는 39.45MWh 규모로 8MW를 5시간 동안 공급할 수 있는 전력저장이 가능해 전력요금 절감과 이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했다. 안전을 위해 배터리 발화 사고를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불연재료를 사용했으며, 그 밖에 청정가스를 이용한 소화설비와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안전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에 앞서 2015년 실시간 데이터 분석시스템(RTD, Real Time Data System)과 2016년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FEMS(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를 구축했다. RTD는 제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또 FEMS는 정보통신기술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를 이용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공장 곳곳에 센서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분석한 뒤 전기 사용량을 가장 적당한 규모로 조절한다. 이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제품의 효율적 관리와 투명한 정보 공유 및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졌고, 발전기의 관리 및 효율성 향상과 비용절감, 대응시간 감소의 효과를 거뒀다.
이처럼 청주공장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최종 목표는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모든 과정을 ICT기술로 통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하는 것으로, 청주공장은 이의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청주공장 자동화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