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시련과 위기를 맞아 경영정상화를 모색하다 (1997~2008)-
1997년 대한펄프는 회사의 경영철학과 업 정체성은 물론 토종기업에 걸맞은 브랜드인 ‘깨끗한나라’를 론칭했다. 수많은 소비자 조사를 거쳐 탄생한 ‘깨끗한나라’는 깨끗함을 상징하는 순수 한글 브랜드로 화장지 카테고리를 대표했다. 이와 함께 그해 시설투자에 나서 화장지와 생리대, 기저귀 설비를 각각 준공했으며, 1999년에는 제지 3호기를 준공했다. 특히 2,000억 원이 투입된 제지 3호기는 하루 500톤의 생산능력을 갖춘 최첨단의 자동화 설비로 이는 세계 최고의 규모였다.
그러나 대단위 투자가 발목을 잡았다. 국가의 총체적 위기상황인 IMF 외환위기가 발발하면서 금리가 폭등하고 자금 압박이 거셌다.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급락과 업계의 시설과잉에 따른 수급불균형으로 어려움은 더욱 가중됐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품 개발에 전력을 다해 국내 최초로 ‘매직스 팬티라이너’를 개발하고 성인용 기저귀 사업도 본격화했다. 또 ‘매직스’, ‘깨끗한나라’, ‘보솜이’ 등 제품별 브랜드를 정비하고 소비자의 니즈와 고급화 추세에 부응하는 프리미엄급 제품을 잇달아 출시했다. 자금 부족으로 설비의 증설이나 사업 확대를 꾀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 그 대안으로 마케팅력을 발휘하며 판매 촉진을 도모했다. 디자인 공모전, 매직스 광고모델 선발대회 등을 개최하고 기존의 관행을 뒤엎는 파격적이고 참신한 TV 광고로 소비자를 사로잡는 등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여 시장점유율을 높여갔다.
수출 확대에도 나섰다. 세계 공장화가 진행되는 중국시장에서 북경사무소와 광저우사무소를 중심으로 현지 공략에 나섰으며 일본, 미국, 호주 등 기존 시장 외에도 서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로 수출선을 다변화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00년에는 은탑산업훈장 및 1억불 수출탑의 기쁨도 안았다.
어려운 와중에도 깨끗한나라 만들기 캠페인, 종이컵 수거 및 재활용 캠페인 등 친환경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쳤으며, 폐기물과 폐수처리를 친환경공법으로 처리해 환경친화기업에 지정된 데 이어 환경경영대상을 수상했다. 업계 최초로 ISO 9001과 ISO 14001을 획득하여 품질 · 환경 통합경영체제를 구축하고 FSC 산림인증 획득 및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등 책임 있는 경영을 이어갔다.
그러나 시련은 끝나지 않았다. 최병민 회장과 대한펄프 전 임직원이 뼈를 깎은 고통 속에서 정리 가능한 자산을 매각하고 사업 및 인적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재무구조 개선에 온 힘을 다했다.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 출시와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전사적으로 나섰으며, 소비자 만족을 통한 판매 촉진에도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자구적인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었고, 그 과정에서 최병민 회장이 건강을 크게 해치면서 회사의 존립이 위협받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다. 결국 희성전자의 도움을 받으며 비로소 위기에서 벗어나 경영정상화를 도모하기에 이르렀다.36. 중화권 시장 공략을 위한 해외 거점 정비 2003
대한펄프는 1990년대에 중국시장에 진출해 현지 공략을 본격화한 바 있다.
1995년 10월 중국 현지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의 상해화안채색제판인쇄유한공사(上海華安彩色製版印刷有限公司事)와 합작해 상해화한지업유
한공사(上海華韓紙業有限公司事)를 설립하고 1996년 국내 제지업체로는 처음으로 상해시 포동 경제특구에 연산 100만 개 규모의 화장지 공장을 준공했다. 초기 3년 간 두루마리 화장지와 미용티슈 각각 1,500만 개, 키친타월 500만 개를 생산해 중국 내수시장에 판매하고 일부는 대만 등 동남아지역으로 수출한다는 계획이었다. 중국의 값싼 노동력과 대한펄프의 높은 기술력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를 넓혀 세계시장을 공략한다는 복안이었다. 당시 한솔제지와 신무림제지도 중국기업과의 합작 형태로 제지공장을 설립하는 등 중국 진출에 적극적이었다. 전형적인 내수업종으로 꼽히던 제지산업이 이처럼 중국 진출을 꾀한 것은 국내의 불황을 극복할 수 있는 돌파구로 삼기 위함이었고, 1998년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 하락으로 수출 가격경쟁력이 높아졌기 때문이었다.
대한펄프도 이 같은 시대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1997년 9월 북경에 현지사무소를 개설한 데 이어 이듬해 12월 광저우에 사무소를 추가 개설하며 수출 총력 체제를 구축했다. 중국은 한국 제지업체들의 최대 수출국으로서 수출 물량의 상당부분이 중국으로 선적되는 등 한동안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수출 호조는 오래 가지 못했다. 2000년대 들어 중국 현지업체들이 자리를 잡고 중국의 세계 공장화가 가속되면서 대 중국 제지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이 같은 현상은 더욱 뚜렷해져 중국 현지업체들이 대규모 생산라인을 증설하고 인도네시아 등의 자본이 중국에 진출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자리는 갈수록 좁아졌다. 2003년 중국 산둥성에 위치한 보후이제지와 태양제지가 각각 연산 30만 톤과 20만 톤 규모의 백판지 신규공장을 건립했다. 이듬해 광저우성의 구룡제지가 45만 톤의 백판지 신규설비를 가동하고 산둥성 첸밍제지도 대규모 증설공사에 착수해 130톤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중국업체들의 몸집 불리기가 계속되면서 약 130만 톤 이상의 백판지 신규물량이 중국에서 쏟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설상가상으로 2004년부터 중국산 제지의 수입 관세율을 무세화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내수 판매까지 타격을 받게 됐다.
중국과의 계약 체결 중인 최병민 회장 (1997. 1. 23)중국 수출이 막히면서 이 물량이 국내 출혈경쟁의 원인이 되었고, 경기침체에 따른 종이 소비가 감소한 데다 중국의 저가공세까지 이어져 업계의 어려움은 가중됐다. 결국 중국에 진출해 있던 국내 기업들은 현지의 조직을 통폐합하기에 이르렀다. 한솔제지가 5개의 중국사무소 중 3개 지역의 사무소를 폐쇄했으며, 신무림제지도 3개의 중국사무소를 1개로 축소 운영했다.
대한펄프도 예외는 아니었다. 1999년 북경사무소를 폐쇄하고 홍콩사무소를 신천사무소로 이전했으며, 2003년에 광저우사무소와도 통폐합했다. 이로써 상하이사무소만 남게 됐다. 더 큰 문제는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었다. 국내 기업들이 20만 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는 사이 중국업체들은 100만 톤급 시설확충에 나서 경쟁 자체가 무리였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대한펄프는 중국업체들의 공세에 대비하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선 다변화를 꾀하는 한편, 효율적인 생산관리시스템을 통한 품질 향상과 원가 절감,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보솜이 중국시장 진출(2008. 9. 9)